맨위로가기

염소젖 치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소젖 치즈는 염소젖으로 만든 치즈를 통칭하며, 기원전 5,000년 전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염소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양질의 우유를 생산하며, 염소젖 치즈는 특유의 풍미와 소화에 도움을 주는 영양학적 가치를 지닌다. 제조 과정은 다른 치즈와 유사하며, 시동제의 종류, 숙성 기간 등에 따라 다양한 질감과 맛을 낸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염소젖 치즈가 생산되며,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염소젖 치즈 - 페타 (치즈)
    페타 치즈는 그리스어로 "조각"을 의미하는 'φέτα'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 그리스에서 양젖 또는 양젖과 염소젖 혼합으로 생산되고 유럽 연합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품으로 지정된, 동지중해 지역에서 유래하여 현대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치즈이다.
  • 염소젖 치즈 - 브루노스트
    브루노스트는 노르웨이 전통 유청 치즈로, 유청에 우유, 크림, 염소젖 등을 넣어 캐러멜화하여 만들며 단맛과 독특한 풍미가 특징이다.
염소젖 치즈 - [음식]에 관한 문서
염소젖 치즈 정보
염소젖 치즈
염소젖 치즈
종류치즈
주 재료염소젖
명칭
프랑스어fromage de chèvre (프로마주 드 셰브르)
추가 정보
참고한국일보 "[푸드 스토리] 염소젖 치즈는 무슨 맛일까" 기사 링크
오마이뉴스 "노르웨이산 '진짜 염소 치즈', 진하고 강렬한 맛" 기사 링크
중앙일보 "염소치즈 올라간 김치, 맛보실래요?" 기사 링크

2. 역사

염소는 가장 열악한 환경에서도 영양가가 풍부하고 품질이 좋은 우유를 생산하여 소와 양이 생존할 수 없는 건조하거나 산악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3] 염소는 튼튼한 소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소나 말이 먹지 않는 쓴 식물도 잘 먹는다.[4]

염소는 인간의 필요, 특히 우유 생산에 맞게 길들여진 가장 초기의 동물 중 하나로, 기원전 8,000년 전, 즉 1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염소젖 치즈는 적어도 기원전 5,000년 전부터 만들어졌다.[6] 인간이 치즈를 만든다는 최초의 문서 증거는 7,500년 전 폴란드에서 발견되었다.

2. 1. 기원

염소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영양가 풍부하고 품질 좋은 우유를 생산하여 소와 양이 생존할 수 없는 건조하거나 산악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3] 염소는 튼튼한 소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소나 말이 먹지 않는 쓴 식물도 잘 먹는다.[4]

염소는 인간의 필요, 특히 우유 생산에 맞게 길들여진 가장 초기의 동물 중 하나로, 기원전 8,000년 전, 즉 1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염소젖 치즈는 적어도 기원전 5,000년 전부터 만들어졌다.[6] 인간이 치즈를 만든다는 최초의 문서 증거는 7,500년 전 폴란드에서 발견되었다.

2. 2. 세계 각지의 역사

3. 영양학적 가치

염소젖은 카프로산카프릴산과 같은 중간 사슬 지방산의 비율이 높아 치즈 특유의 톡 쏘는 풍미를 낸다.[7] 또한 염소젖과 치즈의 소화를 돕는다.[8]

염소젖, 따라서 염소젖 치즈는 항염증 효소, 프로바이오틱스, 항산화제, 단백질, 지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한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지방산들은 라틴어로 '염소'를 뜻하는 카프라/caprala에서 이름을 따왔다.[9] 또한 칼슘, 비타민 A비타민 K, , 티아민, 니아신이 풍부하다.[3] 전반적으로, 균형 잡힌 저칼로리 식단과 신체 활동 권장 사항을 준수하며 매일 60g의 치즈를 섭취하는 것은 체중, 체질량 지수 및 허리 둘레 감소에 효과적이었다.[10]

4. 제조 과정

염소젖 치즈는 다른 치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먼저 우유를 걸러 불순물이나 침전물을 제거한다. 응유를 촉진하기 위해 레닛과 같은 시동제(starter agent)를 첨가하며, ''락토코쿠스 락티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lactis), L. l. 크레모리스(cremoris)''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같은 시동 박테리아를 사용하기도 한다.[11] 시동 박테리아는 커드의 크기 및 치즈의 질감에 영향을 준다.[11] 이후 치즈를 성형하여 유청(응고되지 않은 우유의 액체 부분)과 분리하고, 커드를 성형, 건조, 향을 내는 과정을 거쳐 숙성시킨다.[11] 시동제의 종류, 배수 시간, 압력, 숙성 과정의 온도 및 기간 등에 따라 치즈의 질감(연성, 반경성, 경성)과 맛이 달라진다.[11]

5. 지역별 종류

wikitable

지역종류


5. 1. 아시아

5. 1. 1. 중국

윈난 성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염소젖 치즈인 유빙/乳饼중국어은 소젖으로 만든 인도식 치즈인 파니르와 유사하다. 루빙(Rubing)은 윈난성에서 만들어지는 염소젖 치즈이다. 인도의 파니르와 비슷하다.

''쇼샤''는 티베트 자치구티베트 요리에서 주식으로 사용되는 톡 쏘는 맛의 치즈로, 염소나 야크와 같이 기후에 적합한 동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5. 1. 2. 필리핀

''케송 푸티'' 치즈: 수분 함량은 거의 젤라틴에서 압착되고 단단한 것까지 다양합니다. 그냥 먹거나 빵(보통 ''판데살'')과 함께 먹거나 필리핀 요리의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케송 푸티''(Kesong puti)는 무지방 물소 우유와 식초, 감귤류 주스 또는 때로는 레닛으로 응고된 소금으로 만든 필리핀의 부드럽고 숙성되지 않은 흰색 치즈이다. 염소 또는 젖소 우유로도 만들 수 있다. 맛은 순하고 짭짤하고 시큼하다. 산성화제를 사용하면 ''케소 블랑코'' 또는 ''파니르''와 비슷하다. 레닛을 사용하면 물소 모차렐라와 비슷하다. 이름은 "하얀 치즈"를 의미하는 타갈로그어인 ''케송 푸티''로도 표기되며 라구나 주와 불라칸 주의 이름이다. 카비테 주에서는 ''케실리오''(또는 ''카실리오'' 또는 ''케실로'')로 알려져 있다. 세부 북부에서는 ''퀘세오'' 또는 ''키세요''로 알려져 있다.

5. 1. 3. 일본

일본에서 만들어지는 염소젖 치즈는 야기/ヤギ일본어 치즈라고 불린다.야기/ヤギ일본어는 염소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이다.[12]

5. 1. 4. 서아시아

예게그나조르에서 생산된 염소젖 치즈,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예게그나조르 염소젖 치즈.
  • 아카위 치즈(, 아카위, 아카위에, 아크아위라고도 함)는 현재의 이스라엘 아크에서 이름을 따온 흰색 염수 치즈이다.[2]
  • 다르피예는 특별히 발라디 염소에서 생산되는 풍미가 풍부한 치즈로, 다르기예에서 별미로 취급된다.[2]
  • 자미드 또는 자메드는 요르단과 시리아에서 인기 있는 숙성되지 않은 소금 껍질 치즈이다.[2]
  • 지브네 아라비예 () (지브니라고도 함)는 중동 전역에서 발견되는 부드러운 흰색 치즈이다. 특히 페르시아 만 아랍 국가에서 인기가 높다. 이 치즈는 페타 치즈와 유사한 순한 맛을 내지만, 염도는 덜하다. 이 제품의 유래는 베두인족이 염소 또는 양젖을 사용하면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치즈를 만들기 위해 소젖을 사용한다. 지브네 아라비예는 요리에 사용하거나, 단순히 식탁 치즈로 사용한다.[2]
  • 라브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소비된다. 주로 이집트,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요르단에서 생산되지만, 중동 대부분 지역에서도 생산된다. 올리브 오일과 함께 제공하거나, 민트로 양념하여 샐러드와 함께 먹거나 디저트로 먹을 수 있다.[2]
  • 나불시 치즈 나불시 또는 나불리는 중동과 팔레스타인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팔레스타인 아랍인 흰색 염수 치즈 중 하나이다. 이름은 기원지인 나블루스를 가리키며, 서안 지구와 주변 지역에서 잘 알려져 있다. 나불시는 아카위 치즈와 함께 요르단에서 소비되는 주요 치즈 중 하나이다. 주로 양젖으로 생산되며, 또는 염소젖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체르케스 치즈 ( , ''adygeyskiy syr'',)는 북캅카스, 레반트 및 체르케스인의 디아스포라가 있는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치즈이다. 이 치즈는 생 소, 양, 또는 염소젖(아디게 치즈 - 소젖만 사용)으로 준비되어 나무 바구니에 넣어서 모양을 낸다.
  • 체르케스 훈제 치즈는 훈제 저지방 체르케스 치즈로, 특히 터키의 동부 마르마라 지역에서 생산된다. 엷은 노란색 또는 크림색을 띠며 두꺼운 껍질이 있다. 응유를 만들고 거른 후, 치즈의 밑면과 윗면에 소금을 뿌리고 훈연실에서 소나무 또는 굵은 피치 파인으로 훈연한다. 이 과정을 통해 치즈는 더욱 풍미가 풍부해지고 오래 보존할 수 있게 된다.

5. 2. 유럽

5. 2. 1. 발칸반도

시레네 치즈

  • 시레네 치즈(자트 이 바르더/djathë i bardhësq; 시레네/сиренеbg; 시레네/сирењеmk; 시르/сирsr)는 "화이트 브라인 시레네"(뱔로 살라무레노 시레네/бяло саламурено сиренеbg)라고도 불리며, 발칸 반도 (남동부 유럽)에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염수 치즈이다. 특히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그리스에서 인기가 있으며, 이스라엘과 레바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염소유, 양유, 또는 젖소의 우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5. 2. 2. 키프로스


  • 아나리(아나리/αναρήel, 노르/nortr)는 신선한 순한 유청 치즈키프로스에서 생산된다. 다른 키프로스 치즈(예: 할루미)보다 덜 알려져 있지만, 홍보 이후 인기를 얻었다.
  • 할루미 또는 할루미(할루미/χαλούμιel)는 염소양젖을 섞어 만든 전통적인 키프로스 치즈이며, 때로는 소젖도 사용한다.

5. 2. 3. 덴마크

덴마크에서는 다양한 염소젖 치즈가 생산된다.

  • 로사 문도
  • 페나 문도, 플로라 문도, 게타 문도, 비타 문도
  • 쿰룰루 블루

5. 2. 4. 핀란드

레이패유스토 (빵 치즈) 또는 유스토레이패(kahvijuustofit; kaffeostsv 또는 브뢰도스트)는 핀란드의 신선한 치즈이다. 미국에서는 핀란드 삐걱 치즈로도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젖소의 초유, 즉 갓 새끼를 낳은 젖소의 풍부한 젖으로 만들어진다. 순록 치즈 또는 심지어 염소젖도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젖소의 우유로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색상과 풍미가 다소 부족하다. 이 치즈는 원래 남부 오스트로보트니아, 핀란드 북부 및 카이누 지역에서 유래했다.

5. 2. 5. 프랑스

프랑스는 특히 루아르 계곡푸아투 지역에서 매우 많은 종류의 염소젖 치즈를 생산한다.[2]

  • 셰브르는 부드럽고 크리미하며 입안에서 녹는 치즈로 과일 향이 날 수 있다. 보통 밝은 색의 껍질이나 껍데기로 덮여 있다. 오래 숙성하지 않는다. 때로는 셰브르 쇼로 뜨겁게 제공되기도 한다.
  • * 바농 치즈, 부쉐롱, 카베쿠, 카타르, 샤비, 쇼비에, 샤브루, 샤비슈, 슈브로탱, 클로셰트, 쿠론 로슈아즈, 크로탱 드 샤비뇰, 페이세일, 몽라셰 (부르고뉴), 몽라셰 부르고뉴, 펠라르동, 피코동, 풀리니 생 피에르, 풀리니-생 피에르 치즈, 리고트 드 콩드리외, 로카마두르, 생-모르 드 뚜렌, 셀 쉬르 셰르 치즈, 샤비슈 뒤 푸아투, 발랑세 그리고 피라미드.

라벤더와 야생 회향을 곁들인 셰브르


프랑스에서는 루아르 계곡이나 푸아투에서 많은 셰브르 치즈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 지역의 염소는 8세기에 무어인에 의해 반입되었다고 전해진다[19]。프랑스의 셰브르 치즈로는 부슈롱(Bucheron), 샤비(Chabis), 클로셰트(Clochette), 쿠론느 로슈와즈(Couronne Lochoise), 크로탕 드 샤비뇰(Crottin de Chavignol), 펠라르동(Pélardon), 피코동(Picodon), 풀리니-생-피에르(Pouligny-saint-pierre), 로카마두르(Rocamadour), 생트-모르-드-투렌(Sainte-Maure de Touraine), 샤비슈 뒤 푸아투(Chabichou du Poitou), 발랑세(Valençay), 피라미드(Pyramide) 등이 있다.

5. 2. 6. 그리스


  • 페타(Feta)는 주로 암양 젖으로 만들며, 염소 젖이 최대 30%까지 포함될 수 있다. PDO(원산지 명칭 보호)에 따르면 양(≥70%)과 염소젖을 사용한다. 비슷한 치즈는 젖소나 물소 젖을 포함할 수 있다.[2]
  • 미지트라(Mizithra) 또는 미지스라(myzithra)는 염소 치즈에서 남은 유청으로 생산되는 유청 치즈이다. 신선하게 또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된다.[2]
  • 안토티로스(Anthotyros)(Ανθότυροςel|안토티로, "꽃 치즈")는 전통적인 신선 치즈로, 케팔로티리(Kefalotyri) 또는 그라비에라(Graviera) 생산에서 나오는 유청을 사용하며 염소, 양 또는 혼합된 젖으로 만들 수 있다. 드라이 안토티로스와 신선 안토티로스가 있다. 드라이 안토티로스는 미지트라(Mizithra)와 유사한 숙성 치즈이다. 안토티로스는 우유와 유청으로 만들어진다. 신선하거나 건조된 상태로 제공된다. 안토티로스는 그리스에서 생산되며, 일반적으로 트라키, 마케도니아, 이오니아 제도, 크레테에서 생산된다.[2]
  • 마누리(Manouri)(μανούριel)는 그리스의 반경성, 신선한 흰색 혼합 우유-유청 치즈로, 염소 또는 양 우유로 만들어진다. 그리스 중부 및 북부의 테살리아마케도니아에서 주로 생산된다.[2]
  • 포르마엘라(Formaela)(Φορμαέλαel)는 그리스 아라호바에서 독점적으로 생산되는 경성 치즈이다. 그리스 전역에서 유명하며 1996년부터 유럽 연합에 원산지 명칭 보호로 등록되었다. 포르마엘라는 주로 양젖 또는 염소젖으로 만들어지며, 단단하고 결합된 껍질과 구멍 없이 밝은 노란색을 띈다.
  • 카세리(Kasseri) 또는 카사르(Kaşar)(κασέριel, kaşartr)는 저온 살균 또는 비저온 살균된 양젖과 최대 20% 염소 젖으로 만들어진 중간 경도 또는 경도의 옅은 노란색 치즈이다. 카세리는 반경성에서 경도에 이르며, 부서지기보다는 부드럽고 쫄깃하며 딱딱한 껍질을 가지고 있다. 이 치즈는 모짜렐라와 같은 신선 치즈와 프로볼로네 또는 카치오카발로와 같은 숙성 치즈를 포함하는 파스타 필라타 치즈 계열에 속한다. 카세리는 원산지 명칭 보호에 따라 그리스의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레스보스, 또는 크산티 지방에서 만들어져야 하지만, 비슷한 종류의 치즈는 터키, 루마니아, 발칸 반도에서도 발견되며, 여기서는 카슈카발(kashkaval)로 알려져 있다. 동일한 치즈는 젖소 젖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는 EU에서 카세리로 법적으로 판매될 수 없으며, 대신 각 생산자 고유의 이름으로 판매된다.[2]
  • 케팔로티리(Kefalotyri) 또는 케팔로티리(kefalotiri)(κεφαλοτύριel, talar peyniritr)는 그리스키프로스에서 양젖 또는 염소우유 (또는 둘 다)로 만든 경성, 짠 흰색 치즈이다. 비슷한 치즈인 케파로그라비에라(Kefalograviera) 역시 양 또는 염소 젖(또는 둘 다)으로 만들어지며, 때로는 그리스와 키프로스 밖에서 케팔로티리로 판매되기도 한다.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우유의 혼합물에 따라 색상은 노란색과 흰색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다.[2]
  • 지노미지트라(Xynomizithra) 또는 지노미지스라(xynomyzithra)(Ξινομυζήθραel)는 그리스 유청 치즈로 약간의 우유를 첨가한다; 미지트라(Mizithra)의 신맛 변종이며, 암양 및/또는 염소 젖으로 만든다. 전지 우유의 비율은 약 15%이다.[2]
  • 지노티로(Xynotyri) 또는 지노티리(Xynotyri)는 그리스에서 생산되는 비저온 살균 유청 치즈로, 양젖이나 염소 젖으로 만들어지며, 단단하고 얇은 질감, 매운 향, 요구르트와 같은 달콤하고 시큼한 맛을 낸다. "지노티리"는 그리스어로 "신 치즈"를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치즈는 갈대 바구니에서 물기를 빼거나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자루에서 숙성시킨다. 젖소 젖은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다.[2]
  • 페타 치즈의 일종인 미지트라나 안토티로스는 염소와 의 젖을 섞어 만든다. 그리스에서는 염소 치즈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는 와인의 신맛을 없애기 위해 염소 치즈를 사용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5. 2. 7. 아일랜드


  • 아르다 캐슬.
  • 아르살라 염소 농장 다양한 종류의 아일랜드 치즈.
  • 클론모어 치즈.
  • 쿨리니 농가 치즈.
  • 콜레기 치즈.
  • 글랜 가브라.
  • 글라이드 농산물 아일랜드 치즈.
  • 세인트 톨라.
  • 툴리보이.

5. 2. 8. 이탈리아

리코타 치즈

  • 카프리노(Caprino)는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33가지 이상의 염소젖 치즈를 포괄하는 용어이며, 프랑스 '''셰브르'''[13]와 유사하다.
  • 아시디노(Acidino)(번역: '약간 산성'), 베네토에서 생산
  • 아그리 디 발토르타(Agrì di Valtorta), 롬바르디아에서 생산
  • 폼마지오 디 카프라 디 라군도 (또는 알군더 지겐케제), 남티롤에서 생산
  • 카네스트라토 디 몰리테르노(Canestrato di Moliterno) 스타지오나토 인 폰다코(Stagionato in Fondaco), 풀리아와 바실리카타에서 양젖과 염소젖을 섞어 생산
  • 카수 아세두(Casu axedu)(푸르게, 프루에 또는 메르카라고도 함)는 사르데냐에서 생산
  • 카브린(Cavrin)(또는 세브린), 피에몬테에서 생산
  • 이르카노(Ircano), 사르데냐에서 생산
  • 살리뇽(Salignon), 하부 아오스타 계곡에서 생산되는 훈제 치즈
  • 모짜렐라는 전통적으로 이탈리아 지중해 물소로 만들지만, 이탈리아의 167개 모든 지역에서 젖소로도 만들며, 일부 지역에서는 양과 염소젖으로도 만든다.
  • 리코타는 다른 치즈 생산 과정에서 남은 양젖, 젖소, 염소젖 또는 이탈리아 물소 우유 유청으로 만든 유청 치즈이다. ''리코타''는 '재가열한'을 의미하며, 응고된 치즈 커드가 위로 떠오를 때까지 유청을 재가열하여 걷어내고 성형하여 만든다.
  • 로비올라는 이탈리아의 연성-숙성 치즈로, 스트라키노 계열이다. 랑게 지역에서 생산되며, 젖소, 염소, 양젖의 비율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한 이론에 따르면 치즈 이름은 파비아현의 로비오 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론은 숙성된 껍질의 색상 때문에 "rubeole"(붉은색)이라는 단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로비올라 품종은 쿠네오현, 아스티현, 알레산드리아현에서 롬바르디아까지 피에몬테 전역에서 생산된다. 특산품 중 하나이다.
  • 카치오타(Caciotta)는 토스카나 label=none/cacciolait에서 유래되었으며, 젖소, 양젖, 염소, 또는 물소의 우유로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치즈의 한 종류이다. 카치오타는 12가지 이상의 변종이 있다.
  • *마르키지아나 카치오타(Caciotta marchigiana).
  • 바스타르도 델 그라파는 이탈리아 몬테 그라파 산괴의 산기슭과 트레비소현, 벨루노현, 비첸차현에서 생산되는 전통적인 치즈이다. 바스타르도 델 그라파는 보르소 델 그라파, 크레파노 델 그라파, 파데르노 델 그라파, 포사뇨, 카바소 델 톰바, 알라노 디 피아베, 퀘로, 펠트레, 세렌 델 그라파, 아르시에, 치스몬 델 그라파, 산 나자리오, 솔란, 포베 델 그라파, 로마노 데첼리노 주변의 몬테 그라파 산괴 지역과 관련된 제품이다.[2]
  • 카프리노(Caprino)는 염소젖을 사용한 이탈리아의 치즈이다.
  • 이탈리아에서는 염소가 가난한 사람들의 가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우유로 만든 치즈만큼 발전하지 못했고 종류도 적다. 2000년대에 들어 염소젖 치즈가 재평가되면서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5. 2. 9. 몰타

신선하고 숙성된 ġbejniet의 모음

  • ġbejna는 염소 또는 양젖으로 만든 작은 치즈이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신선(friski 또는 tal-ilma), 햇볕에 말린(moxxa, bajda 또는 ta' Għawdex), 소금에 절인(maħsula), 후추를 뿌린(tal-bżar) 및 양념한(imħawra) 종류가 있다.
  • * Gbejna friska - 리코타와 비슷한 질감의 신선한 치즈로, 몰타 섬이 원산지이다.
  • * Gbejna tal bzar - 위와 동일하지만 숙성시켜 검은 후추를 입힌 것으로, 몰타 섬이 원산지이다.
  • * Gbejna mghoxxa - 신선한 치즈렛과 같지만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것으로, 몰타 섬이 원산지이다.

5. 2. 10. 네덜란드

베스터콰르티어는 흐로닝언시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유기농 염소젖 치즈 농장이 비교적 많이 밀집되어 있다. 이 지역의 유명한 염소 치즈로는 마체두(Machedoux)와 퀴오리오(Quiorio)가 있으며, 이는 브리(brie) 치즈와 유사한 형태로 네덜란드, 벨기에, 북부 독일 전역의 레스토랑에서 제공된다. 네덜란드의 다른 지역에서는 염소 치즈가 주로 고다 스타일로 만들어진다.

5. 2. 11. 노르웨이


  • 게이토스트는 "염소 치즈"를 의미하며, 갈색을 띠고 염소 젖과 유청으로 만들어진다. 브루노스트("갈색 치즈")와 같은 다른 갈색 치즈도 소 젖 유청, 염소 젖 유청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 스노프리스크는 신선한 염소 젖 치즈로, 종종 향료를 첨가하여 만든다.
  • 브루노스트(Brunost)라는 치즈가 만들어지며, 미국에서도 예토스트(Gjetost)라는 이름으로 종종 판매된다.

5. 2. 12. 포르투갈


  • 카스텔루 브랑쿠는 포르투갈의 염소젖 치즈이다. 카스텔루 브랑쿠(포르투갈어: Queijo de Castelo Branco)는 포르투갈의 동명의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 치즈가 생산되는 현의 주요 도시이다. 1996년부터 카스텔루 브랑쿠 치즈는 원산지 명칭 보호 (PDO)를 받았으며, 세 개의 "베이라 바익사 치즈"(PDO) (''Queijos da Beira Baixa DOP''pt) 중 하나이다. 이 치즈는 염소젖 또는 양젖으로 만들어지며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염소젖으로 만들 경우 치즈가 숙성되는 데 40일이 걸리고, 양젖으로 만들 경우에는 50일이 걸린다. 지방 함량은 약 45%이며, 치즈는 보통 거의 흰색을 띤다.
  • 트라스 오스 몬테스, (Queijo de Cabra Transmontanopt)는 포르투갈 노르트 지방의 알투 트라스오스몬테스에서 생산되는 염소젖 치즈이다.
  • 산타렝 치즈는 포르투갈의 염소 치즈로, 여러 지역에서 생산되며, 특히 산타렝 현과 포르투갈 리바테주 지방의 세라 드 산투 안토니우에서 생산된다.
  • 카스텔루 브랑쿠 (Castelo Branco)의 일종인 케이조 아말렐루 다 베이라 바이샤(Queijo Amarelo da Beira Baixapt) 및 케이조 피칸테 다 베이라 바이샤(Queijo Picante da Beira Baixapt)에는 염소 젖으로 만든 경우가 있다.[20] 『치즈 도감』에서는 셰브르가 아닌 세미 하드 타입으로 분류하고 있다.[21]

5. 2. 13. 러시아

아디게이스키 치즈는 양, 염소, 소의 전유로 만든다.

5. 2. 14. 세르비아

풀레 치즈 또는 마가레치 시르(magareći sir)는 세르비아 치즈로, 발칸 당나귀 젖 60%와 염소 젖 40%로 만들어진다.

5. 2. 15. 스페인


  • 마토카탈루냐 지방의 신선 치즈로 또는 염소젖으로 만든다.
  • 가로차 치즈는 카탈루냐 북부의 가로차 지방에서 유래한 단단한 염소 치즈이다.
  • 네바트는 카탈루냐에서 생산되는 연성 숙성 염소 치즈이다.
  • 카브랄레스 치즈(스페인어: Queso de Cabrales)는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시골 낙농업 농가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되는 블루 치즈이다. 이 치즈는 순수한 비가공 으로 만들거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염소 및/또는 양 젖과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이는 치즈에 더 강하고 매운 풍미를 부여한다. 카브랄레스 생산에 사용되는 모든 젖은 아스투리아스의 작은 생산 지역, 즉 피코스 데 에우로파 산맥에서 사육된 젖소에서만 얻어야 한다.
  • 마조레로 치즈는 카나리아 제도의 푸에르테벤투라 섬에서 생산되는 염소젖 치즈이다.
  • 파요요 치즈(스페인어: queso payoyo 또는 ''queso de cabra payoya)는 스페인 시에라 데 그라살레마의 빌라루엔가 델 로사리오 및 기타 지역에서 파요야 염소와 메리노 양의 젖으로 만든 치즈의 일종이다. 1997년에 생산을 시작하여 스페인 델리카트슨의 주요 제품이 되었다.
  • 피콘 베헤스-트레스비소는 스페인 북부의 칸타브리아 지방에서 생산되는 블루 치즈이다. 1994년부터 원산지 명칭 보호 (DO) 법률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으며, 그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피콘 데 트레스비소와 케소 피콘 데 베헤스로 알려졌다. 지정된 지역은 리에바나 계곡을 중심으로 하며, 생산은 포테스, 페사게로, 카베손 데 리에바나, 카말레뇨, 실로리고 데 리에바나, 페냐루비아, 트레스비소 및 베가 데 리에바나의 지방 자치 단체로 제한된다.
  • 카스텔루 브랑쿠 (Castelo Branco)의 일종인 케이조 아말렐루 다 베이라 바이샤(Queijo Amarelo da Beira Baixapt) 및 케이조 피칸테 다 베이라 바이샤(Queijo Picante da Beira Baixapt)에는 염소 젖으로 만든 경우가 있다.[20] 『치즈 도감』에서는 셰브르가 아닌 세미 하드 타입으로 분류하고 있다.[21]

5. 2. 16. 터키

다양한 튤룸, 중앙의 "오틀루 튤룸 페이니리" 또는 허브를 넣은 튤룸, 앙카라에서

  • 튤룸 치즈는 터키에서 만들어지는 염소젖 치즈이다. tulum peyniritr는 터키어로 튤룸이라고 불리는 염소 가죽 케이스에서 숙성된 전통적인 터키 염소젖 치즈이다. 독특한 풍미 때문에 터키에서는 라크와 함께 메제로 선호된다.
  • 세페트 치즈와 카샤르 치즈는 염소젖으로 생산되며, 염소 세페트 치즈와 염소 카샤르 치즈로 판매된다.
  • sütdiyari '화이트 치즈'는 양, 소 또는 염소젖으로 생산되는 치즈이다.
  • 베야즈 페이니르 '화이트 치즈'는 양, 소 또는 염소젖으로 생산되는 염수 치즈이다. 에지네, 차나칼레에서 유래된 에지네 치즈는 지리적 보호 규정에 따라 최소 40%의 염소젖을 포함하는 베야즈 페이니르의 일종이다.[14]
  • 돌라즈 치즈는 터키 호수 지역(이스파르타, 아피온, 안탈리아)의 유목민(카라코윤루, 하이타, 호남리, 사르케칠리 요루크)이 유청으로 생산하는 전통 치즈이다. 일반적으로 암양염소의 젖으로 만든다.
  • 카르스 그라비예 치즈는 그뤼에르 치즈와 유사한 터키 치즈이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우유 또는 소젖과 염소젖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 반 허브 치즈( Van otlu peyniritr)는 양젖 또는 소젖으로 만든 치즈의 한 종류이다. 허브를 함유한 숙성 치즈는 터키의 전통 치즈이며, 이 나라 동부와 동남부 지역에서 200년 이상 제조되어 왔다.

5. 2. 17. 우크라이나

브린자 치즈


빵 위에 올려진 브린자 치즈

  • 브린자(Bryndza, 루마니아어 brânză 치즈에서 유래)는 동유럽의 여러 지역, 특히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남부 폴란드의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에서 만들어지는 양젖 치즈이다.[15] 브린자 치즈는 크림처럼 흰색을 띠며 특유의 강한 냄새와 맛으로 유명하다. 치즈는 흰색, 톡 쏘는 맛, 부스러지기 쉬운 질감에 약간 촉촉한 편이다. 독특한 냄새와 맛을 가지며 특히 낙산의 맛이 두드러진다. 전체적인 맛의 느낌은 처음에는 약간 순하지만, 강해지고 마지막에는 짠맛으로 마무리된다. 레시피는 국가마다 약간씩 다르다. 이 치즈는 염소젖이나 젖소젖으로도 만들 수 있다.

5. 2. 18. 영국


  • 하본 블루(Harbourne Blue).
  • 판티스건(Pantysgawn)은 웨일스의 염소젖 치즈이다.
  • 카프리콘(Capricorn)은 서머싯산 염소젖 치즈이다.
  • 게브릭(Gevrik)은 콘월산 염소젖 치즈이다. 게브릭이라는 단어는 콘월어로 '작은 염소'를 의미한다.
  • 테신(Tesyn)은 콘월산 훈제 염소젖 치즈이다. 테신은 콘월어로 '케이크'를 의미한다.
  • 판티스거운(Pantysgawn)은 웨일스의 염소젖 치즈이고, 게브릭(Gevrik)은 콘월의 염소젖 치즈이다.[22]

5. 3. 아메리카

5. 3. 1. 캐나다


  • 부크 에미세르
  • 셰브르 누아르

5. 3. 2. 멕시코


  • 아녜호(Añejo) 치즈
  • 아사데로(Asadero) 치즈
  • 코티하(Cotija) 치즈
  • 프레스코(Fresco) 치즈
  • 만체고(Manchego) 치즈
  • 오아하카(Quesillo Oaxaca) 치즈

5. 3. 3. 미국

훔볼트 포그

  • 카프리셔스 치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페탈루마에 위치한 아차디냐 치즈 컴퍼니에서 만든 숙성된 염소젖 치즈이다.
  • 훔볼트 포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사이버스 그로브 슈브르에서 만든 흰색 식용 재로 중앙 선이 있는 곰팡이 숙성 염소젖 치즈이다.
  • 쿠닉 치즈는 미국 뉴욕주 터먼에 있는 네틀 메도우 염소 농장에서 생산되며, 염소젖과 저지 소젖을 혼합하여 만든 치즈로, 브리 치즈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곰팡이 숙성 치즈이다.

5. 3. 4.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특히 팔콘 주, 라라 주 및 미란다 주의 산호세 데 투르과 지역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염소젖 치즈가 생산된다. 소규모 생산자들이 다양한 수제 치즈를 제조한다.[16]

5. 4. 오세아니아

5. 4. 1. 호주

부슈 누아르는 시드니 등에서 만들어지는 염소젖 치즈이다. 부슈 누아르는 시드니 지역에서 갓 짜낸 커드이다.

5. 5. 아프리카

5. 5. 1. 이집트

Domiati cheese


도미아티 치즈(아랍어: جبنة بيضا, ''gebna bēḍa'')는 주로 이집트에서 만들어지는 부드럽고 짠 흰색 치즈로, 수단 및 기타 중동 국가에서도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물소 젖, 소 젖 또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양, 염소 또는 낙타 젖과 같은 다른 젖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이집트에서 가장 흔한 치즈이다. 페타 및 기타 흰색 치즈와 달리, 소금은 레닛을 첨가하기 전에 우유에 직접 첨가된다. 이 치즈는 항구 도시 담미에타 (دمياط)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테스투리 치즈는 양젖 또는 염소젖으로 만든 치즈이다. 종종 오렌지 모양이며, 신선하게 먹고 약간의 소금을 뿌려 먹는다. 테스투리 치즈는 북아프리카와 근동 지역에서 인기가 많다. 테스투리는 동아프리카에서도 인기가 있으며, 15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소개되었다.

5. 5. 2.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베티 보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생산되는 아프리카 치즈이다.
  • 아세가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생산되는 아시아고 타입의 치즈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폭스버그에서 유래되었다. 크래커와 함께 테이블 치즈로 흔히 먹는다.

참조

[1] 웹사이트 "goat" in French {{!}} Lingopolo https://lingopolo.or[...] 2021-09-29
[2] 서적 Atlas of goat products La Biblioteca di Caseus
[3] 학술지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Goat Cheese In Comparision ‎sic With Sheep And Cow Cheese €" An Empirical Study https://ideas.repec.[...] 2019
[4] 웹사이트 Types-of-Cheese https://ansc.umd.edu[...]
[5]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dairy goat products 2019-07-18
[6] 웹사이트 NATIONAL GOAT CHEESE MONTH - August https://nationaldayc[...] 2018-07-16
[7] 웹사이트 Goaty - Cheese Science Toolkit https://www.cheesesc[...] 2021-09-29
[8] 학술지 Effects of added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m lactis probiotic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at ricotta and their survival under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2015-10-01
[9] 웹사이트 Capric acid http://chemicalland2[...] 2011-06-07
[10] 학술지 Consumption of Goat Cheese Naturally Rich in Omega-3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Improves the Cardiovascular and Inflammatory Biomarkers of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20-05-05
[11] 학술지 Recent Insights Into Processing Approaches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Goat Milk and Its Products: A Review 2021
[12] 웹사이트 A Comprehensive Guide to Goat Cheese https://www.themanua[...] 2021-09-29
[13] 웹사이트 Goat cheese – Cheese for you https://cheeseforyou[...] 2022-05-08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turkpate[...] Türk Patent Kurumu 2021-05-01
[15] 웹사이트 Cheese Description: Bryndza http://www.cheese.co[...] Cheese.com 2008-06-11
[16] 웹사이트 Estampas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17] 서적 チーズ入門 https://books.google[...] 日本食糧新聞社
[18] 웹사이트 Capric acid, Chemical LAND21.com. http://chemicalland2[...] 2008-06-26
[19] 웹사이트 Get your goat you've pulled...", ''Impressions Magazine'', n.d. http://www.impressio[...] 2008-06-26
[20] 웹사이트 Queijos da Beira Baixa DOP https://tradicional.[...] Associação de Produtores de Queijo do Distrito de Castelo Branco 2018-08-21
[21] 서적 チーズ図鑑 株式会社文藝春秋
[22] 웹사이트 Gevrik Cheese, practicallyedible.com. http://www.practical[...] 2008-06-26
[23] 뉴스 "[푸드 스토리] 염소젖 치즈는 무슨 맛일까"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09-26
[24] 뉴스 "노르웨이산 '진짜 염소 치즈', 진하고 강렬한 맛"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7-09-26
[25] 뉴스 염소치즈 올라간 김치, 맛보실래요? [출처: 중앙일보] 염소치즈 올라간 김치, 맛보실래요?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